3 minute read

백준 문제 중 14890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4890

문제

크기가 N×N인 지도가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그 곳의 높이가 적혀져 있다.

오늘은 이 지도에서 지나갈 수 있는 길이 몇 개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길이란 한 행 또는 한 열 전부를 나타내며,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지나가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N=6인 경우 지도를 살펴보자.

이때, 길은 총 2N개가 있으며, 아래와 같다.

길을 지나갈 수 있으려면 길에 속한 모든 칸의 높이가 모두 같아야 한다. 또는, 경사로를 놓아서 지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들 수 있다. 경사로는 높이가 항상 1이며, 길이는 L이다. 또, 개수는 매우 많아 부족할 일이 없다. 경사로는 낮은 칸과 높은 칸을 연결하며,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 경사로는 낮은 칸에 놓으며, L개의 연속된 칸에 경사로의 바닥이 모두 접해야 한다.
  • 낮은 칸과 높은 칸의 높이 차이는 1이어야 한다.
  • 경사로를 놓을 낮은 칸의 높이는 모두 같아야 하고, L개의 칸이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경사로를 놓을 수 없다.

  • 경사로를 놓은 곳에 또 경사로를 놓는 경우
  • 낮은 칸과 높은 칸의 높이 차이가 1이 아닌 경우
  • 낮은 지점의 칸의 높이가 모두 같지 않거나, L개가 연속되지 않은 경우
  • 경사로를 놓다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L = 2인 경우에 경사로를 놓을 수 있는 경우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img3

경사로를 놓을 수 없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위의 그림의 가장 왼쪽부터 1번, 2번, 3번, 4번 예제라고 했을 때, 1번은 높이 차이가 1이 아니라서, 2번은 경사로를 바닥과 접하게 놓지 않아서, 3번은 겹쳐서 놓아서, 4번은 기울이게 놓아서 불가능한 경우이다.

가장 위에 주어진 그림 예의 경우에 지나갈 수 있는 길은 파란색으로, 지나갈 수 없는 길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다. 경사로의 길이 L = 2이다.

지도가 주어졌을 때, 지나갈 수 있는 길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2 ≤ N ≤ 100)과 L (1 ≤ L ≤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가 주어진다. 각 칸의 높이는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지나갈 수 있는 길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삼성 SW 문제를 풀면서 몇번 느낀건게 꼼꼼함이 굉장히 중요하다. 이문제는 특히나 조건을 모두 따지는게 중요했다.

길을 지나갈수 있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이다.

  1. 평평한 길만이 이어지는 길
  2. 이전보다 다음 경사가 높으면서 이전 지형들에 경사로를 설치 할 수 있는경우
  3. 이전보다 다음 경사가 낮으면서 다음 지형들에 경사로를 설치 할 수 있는경우

코드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위의 세 조건을 판별하는 함수를 is_possible이라 하자.
is_possible은 지형을 한줄씩 리스트로 입력받아 가능한 길인지 불가능한 길인지 위의 세 조건을 통해 판별한다.
주어진 지형을 row마다 하나씩 쪼개 is_possible에 차례로 넣어 조사하고 주어진 지형을 zip함수를 활용해 col 마다 하나씩 쪼개 is_possible에 차레로 조사를 한뒤 True를 반환할때만 cnt를 1 증가시킨다.

n, l = map(int, input().split())
board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def is_possible(search):
     # 경사로가 설치 된 경우를 확인할 리스트 선언
    visited = [False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 1):

         # 이전길과 다음길의 높이가 같다면 가능한길이므로 continue
        if search[i] == search[i + 1]:
            continue
         # 높이 차이가 2 이상이라면 바로 False 리턴
        elif abs(search[i] - search[i +1 ]) > 1:
            return False
         # 2번의 조건
        elif search[i] < search[i + 1]:
            tmp = search[i]
            for x in range(l):
                if i - x < 0 or visited[i - x] or search[i - x] != tmp:
                    return False
                visited[i - x] = True
         # 3번의 조건
        elif search[i] > search[i + 1]:
            tmp = search[i + 1]
            for x in range(1, l +1):
                if i + x > n - 1 or visited[i + x] or search[i + x] != tmp:
                    return False
                visited[i + x] = True
    else:
        return True

cnt = 0   
for i in range(n):
    if is_possible(board[i]):
        cnt += 1
    if is_possible(list(zip(*board))[i]):
        cnt += 1
print(cnt)


11
  • 추가적으로 zip함수에 대해 조금 살펴보자
from pprint import pprint
a = [
'4 4 4 4 4 4'.split(),
'3 3 3 3 3 3'.split(),
'2 2 2 2 2 2'.split(),
'1 1 1 1 1 1'.split(),
'0 0 0 0 0 0'.split(),
]
pprint(a)
print()
pprint((list(zip(*a))))
# 이처럼 행렬의 가로 세로를 바꾸는데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다.
[['4', '4', '4', '4', '4', '4'],
 ['3', '3', '3', '3', '3', '3'],
 ['2', '2', '2', '2', '2', '2'],
 ['1', '1', '1', '1', '1', '1'],
 ['0', '0', '0', '0', '0', '0']]

[('4', '3', '2', '1', '0'),
 ('4', '3', '2', '1', '0'),
 ('4', '3', '2', '1', '0'),
 ('4', '3', '2', '1', '0'),
 ('4', '3', '2', '1', '0'),
 ('4', '3', '2', '1', '0')]

Leave a comment